--> 펀드의 개념 공모펀드 사모펀드 펀드 고르는법
본문 바로가기
금융문맹 탈출

펀드의 개념 공모펀드 사모펀드 펀드 고르는법

by sjdhebxj?b 2021. 10. 1.
반응형

펀드란 복수의 투자가에게서 자금을 모아 펀드 ( 기금 )를 만들어, 운용의 프로인 펀드매니저가 주식이나 채권, 금융파생상품, 부동산 등 다양한 투자대상에 투자하여 얻을 수 있는 수익을 출자비율에 응하여 투자가에게 배분하는 것이다. 

 

 

 

1. 펀드의 5가지 요소 

 

투자가 돈을 내는 사람
펀드 자금을 모아서 보유해 두는 곳 
펀드매니저 자금을 운용하는 사람
사무관리회사 금융상품의 구입, 보관, 매각 
투자대상 주식이나 채권, 부동산, 금융파생상품 등 

 

 

펀드는 주식이나 채권, 외환등 가격이 움직이는 것 즉, 현금흐름을 낳는 것을 투자대상으로 삼는다. 

 

가격이 매겨지고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운용대상이 된다는 것. 

 

극히 위험부담이 큰 비트코인 등 가상통화 ( 암호 자산 )을 운용대상으로 하는 펀드도 최근에는 등장하고 있다.

 

많은 이에게서 자금을 모아 운용하는 경우, 불특정다수를 대상으로 모집하는 형식을 「 공모펀드 」 , 한정된 사람만 모집하는 형식을 「 사모펀드 」 라고 한다. 

 

 

< 공모펀드와 사모펀드의 주요 차이점 >

 

  공모펀드 사모펀드
펀드 투자신탁 등  헤지펀드 등 
구입 누구든지 구입가능  한정된 사람만 구입 가능 
운용대상 행정의 철저한 감시 비교적 자유로움 

 

 

 

 

2. 공모펀드란?

 

 

공모펀드란 불특정다수의 투자가에게서 자금을 모아, 그 자금을 운용하는 금융상품이다. 

 

대표적인 공모펀드는 투자신탁으로, 은행이나 증권회사 등에서 누구든지 소액부터 구입할 수 있다. 

 

개인 투자가로서는 비교적 투자하기 어려운 해외의 금융상품에 대해 분산투자가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또한, 실제로 자금을 운용하는 것은 투자의 프로인 펀드 매니저이므로 안심하고 운용을 맡길 수 있는 장점도 있다. 

 

 

 

 

3. 사모펀드란?

 

사모펀드는 적합 투자가등 소수의 투자가에게만 한정해서 자금을 모아 운용하는 펀드이다. 

 

적합 투자가란 프로 투자가로서 법률에서 인정된 투자의 전문가이다. 연금이나 금융기관 같은 기관투자가 등이 해당된다. 

 

사모펀드에는 기업을 매수하는 「 바이아웃 펀드 」 나 벤처기업에 투자하는 「 벤처 캐피탈 」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가장 잘 알려져 있는 것은 「 헤지펀드 」 이다. 

 

사모펀드는 법률의 규제를 받지 않으므로 투자가에게서 모은 자금의 운용이 자유롭다. 그러므로 파생상품 등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등 대담한 자산운용에 의한 큰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이다. 

 

 

 

4. 펀드의 장점 

 

 

① 자산운용의 수단이 풍부해짐 

 

복수의 투자가에게서 자금을 모으는 것으로 단독으로는 투자하기 어려운 대규모 안건에도 투자가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큰 건물을 소유하여 부동산 투자를 하려고 하면, 엄청난 금액의 자금이 필요해진다. 그러나 부동산 투자신탁인 REIT(리츠)를 구입하면, 소액으로도 투자가 가능하다. 

 

또한 해외 주식 구입에 어려움이 있는 투자가라도 해외주를 운용하는 펀드에 투자하면 간접적으로 투자효과를 얻을 수 있다. 

 

 

② 투자분산에 의한 리스크 관리 

 

투자펀드의 열쇠는 작게 나누는 것으로, 규모가 큰 투자안건을 잘게 나누어 개인도 투자하기 쉽게 한 것이다. 

 

또한 복수의 금융상품에 분산투자하는 것으로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리스크란 손실이나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으로, 어떤 금융상품에도 리스크는 존재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기업의 주식만 보유할 수 있다면, 그 기업이 파산하게 되면 이익을 얻을 수 없는 것뿐만 아니라 투자한 원금도 돌아오지 않는다. 

 

그러나 복수의 종목에 분산투자하면 타 종목에서 손실이 나도 그것을 커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리스크를 억제하기위해  주식뿐만 아니라 채권이나 부동산 등의 복수의 금융상품에 나누어 투자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분산투자는 시간과 수고가 들지만, 투자신탁의 경우는 몇십개에서 몇백 개까지의 종목을 운용하므로 하나의 펀드를 구입하는 것만으로 분산투자가 실현되는 것이다. 

 

또한 사모펀드의 경우에는 헤지펀드나 벤처 캐피탈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리고 전통적인 자산인 주식이나 채권 등과는 다른 움직임을 보이므로 기관투자가의 투자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③ 절대적 수익을 노리는 펀드도 존재

 

사모펀드인 헤지펀드의 대부분은 절대수익을 목표로 한다. 

 

절대수익이란 반드시 수익을 낸다는 의미가 아니라, 투자대상으로 하는 시장의 환경에 관계없이 수익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주식으로 운용하는 펀드의 경우, 투자신탁이라면 주가의 하락이 기준가격의 하락을 의미하지만, 헤지펀드는 그런 시장의 환경에도 공매도 등을 하여 수익을 노린다. 어떤 시장환경에도 절대적으로 수익을 목표로 하는 사모펀드는 큰 매력이 있다. 

 

 

관련 글 

 

헤지펀드란? 일반펀드와의 차이점 비교

헤지펀드는 1949년 미국에서 탄생했다. 전 콜롬비아대 교수이자 포춘지 기자였던 알프레드 W 존스 씨가 「 롱 포지션(매수)  」과  「 숏 포지션 (매도)」 의 양쪽을 취해 시장이

ishigakilife.tistory.com

 

 

 

5. 펀드의 단점 

 

 

① 스스로 종목을 선택할 수 없다 

 

주식이나 채권 등 큰 분류의 투자대상은 고를 수 있으나 실제로 운용은 프로의 펀드매니저에게 일임하므로, 운용의 방침이나 내용에 간섭할 수가 없다. 

 

운용이 잘 되고 있을 때에는 문제가 없지만, 운용성과가 나쁘면 불만을 가질 수 있다. 

 

 

② 수수료가 든다 

 

펀드매니저에 자산운용을 맡기는 것으로, 지불 보수나 수수료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운용수익이 그대로 투자가에게 분배되는 것이 아니다.  특히 사모펀드인 헤지펀드의 경우 수수료 체계가 「 Two Twenty 」 인 20분의 2의 비율이다. 

 

헤지펀드의 운용자에게는 보너스의 최대수입원인 성공보수를 버는 것이 최대 과제일 것이다. 그러므로 성공보수를 획득하기 위해 절대수익을 목표로 하며, 좋은 운용성적을 계속 내야 하는 것이다. 

 

 

③ 사모펀드는 최저투자액이 높다

 

투자신탁의 경우는 1,000원의 소액부터 투자가 가능하다. 그러나 헤지펀드 등 사모펀드는 최저 투자액이 아주 크게 설정되어 있는 곳이 많으므로  큰 금액이 아니면 투자할 수 없다. 

 

 

 

6. 펀드 고르는 법 

 

 

▶ 중장기로 실적이 좋은 펀드

 

펀드를 고를 때에는 과거의 실적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반년 ~ 1년 정도의 좋은 실적은 우연일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3년에서 5년정도의 실적을 확인하여 안정적인 운용성과가 나와있는 것을 체크해야 한다. 

 

또한, 어떤 정도로 리스크를 취할 것인가하는 리스크 허용범위를 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리턴을 중시하는 펀드는 그만큼 리스크도 높아진다. 

 

하이리스크 하이리턴형 펀드는, 주식을 중심으로 운용하는 것이 대체로 많다.

 

특히 성장주에 집중투자하는 펀드나, 해외 신흥국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는 높은 리턴을 기대할 수 있지만 큰 손실을 낼 수 있는 가능성도 있으므로 리스크를 허용할 수 없는 투자가라면 주의가 필요하다. 

 

 

▶ 수수료 확인 

 

투자신탁의 주요 경비는 증권회사나 은행 등 판매회사가 징수하는 「 판매수수료 」 와 운용회사 관리회사가 징수하는 「 운용관리비용(신탁보수) 」 이다. 

 

투자신탁을 산다는 것은 자신의 자신을 관리, 운용하기 위해 이런 경비들을 지불하여 많은 프로들을 고용하는 것과 같다. 

 

또한 헤지펀드등 사모펀드는 그 외에 「 성공보수 」 가 설정되어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보통은 20% 정도이나 실적이 높은 펀드매니저의 경우 더 높게 설정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프로가 투자한다고 해서 반드시 운용성과가 잘  나오는 것이라 말할 수는 없다. 운용에 드는 경비를 가능한 한 줄여서 운용효율을 높이는 것도 투자가로서 중요한 포인트다. 

 

 

 

 

반응형

댓글